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폐 호흡 운동법 - 건강회복의 비결

광명건강

by 광명건강 2020. 4. 2. 12:51

본문

320x100

     

폐 호흡운동법 - 건강회복


 

     전신마취를 전제한 수술 후 회복력은 폐기능과도 밀접하게 관련된다.

마취된 상태에서 환자는 기도에 삽입된 호흡관을 통해 기계에 의해 폐호흡이 유지되고, 

수술이 끝나 회복실에서는 다시 자력에 의해 폐호흡으로 잘 이어져야 한다. 


만약 폐가 줄어든 상태로 호흡을 계속해야 하거나 폐에 물이 차게 되면 수술후 예후가 좋지 않게 된다. 

그래서 회복기의 필수적인 조치로 심호흡을 하게 되고, 큰 기침을 하며 가래를 배출해야 한다.

 

호흡운동의 착안사항

 

- 깊은 숨 폐호흡은 복식호흡이었을 때 가장 깊고 안정적이며, 회복에 도움이 된다.

- 흡식은 코를 통해 짧게하고, 1-2초간 정지한 후, 입이나 코로 길게 내뿜고 마지막 잔기까지 내 놓듯이 길게 호식한다.

- 호식에 이어 다시 흡식하고 내쉬기를 반복하되 출장식(出長式) 복식호흡으로 1-10회 단위로 실시한다.  

-  흡식때 간호사나 협조가가 도울시 폐가 흉강내에 전체적으로 잘 퍼져 꽉 칠 수 있도록 폐첨(폐의 상단 끝단)이 있는 쇄골하 부분 구석진곳을 두두려주고, 등뒤에서도 폐유 고황 등을 두두려 준뒤 , 호식을 하도록 도와준다.

 


 

폐호흡의 효과측정

 


- 손발이 차갑던 상태가 폐호흡을 반복하면 따뜻해 진다. 그만큼 혈액속의 산소농도가 올라가 전신에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게 된다.

- 산소포화도측정치의 변화 : 편히 쉬고 있을 때 95정도 이었던 수치가 본 폐운동으로 수분내에 98 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많음.

 


폐호흡운동법의 적극적 활용

 

 

- 수술 후 회복기 초기에는 반드시 실시하도록 하겠지만, 공기가 맑은 곳에서는 습관처럼 이 호흡법을 실시하기를 권한다.

-  수행의 일부로서도 호흡법이 필요하다. 수행은 바로 하늘의 기운을 받아 들이는 것에서 부터 시작되는 것이다.

바로 폐는 하늘의 기운을 받아들이는 것이고, 마침내 그것이 순조로워질 때 심신이 안정되기 때문이다.


- 투병시에는 풍욕과 함께 실시됨이 더욱 좋음.

따뜻한 방에서 이불을 충분히 준비한뒤, 창문을 열고 온몸을 전라의 상태로 의복을 벗고 피부를 마사지하며 외기와 2-3분간 접촉시키고난 뒤, 이불을 덮어 보온한 상태에서 본 호흡법을 처음에는 5회 실시후, 다시 전나상태에서 피부를 외기와  접촉시킨후, 다시 이불을 덮고 본호흡을 10회 실시한다.
이러한 동작을 2-3회 반복한다.

 

상기 내용은 필자가 최근에 직접체험한 내용을 체험 수기형식으로 진솔하게 피력하였다.
이러한 투병의 한 방편인 호흡법과 폐 강화법은 회복력을 극대화 시키고 있음을 밝힙니다.

 

320x100

'광명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폐 호흡과 전신건강  (0) 2020.04.13
귀빼기 요법  (0) 2020.04.13
동서양의 사혈요법  (1) 2020.03.31
중완뜸의 위장병치료  (0) 2020.03.30
심장의 광명호흡법  (0) 2020.03.27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