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명건강

뇌를 맑게 하는 귀빼기와 씹기동작

광명건강 2020. 3. 12. 11:17
320x100

♧ 측두부자극과 두개골요법

① 귀빼기

호흡에 맞춰 귀를 당겨주는 방법이다.

측두골의 열림과 닫힘에 힘입어 피로회복과 정신안정에 기여한다.

내이도와 외이도 하단을 흐르는 뇌신경들에도 모종의 신전효과가 있으며,

뇌의 측두엽이나 뇌척수액의 흐름에도 영향을 준다.

귀 주변 전후에는 수(手)소양 삼초경과, 그 외측을 족(足)소양 담경이 흐른다. 

* 뇌와 머리의 정맥순환 촉진 경혈들 : 귀 앞 상단 ‘곡빈’ 밑으로는 뇌에서 나오는 얼굴정맥이,
뒷목 상단 ‘풍지’ '완골' 밑으로는 두개골 부근에서 나온 뒤귀바퀴정맥이 흐르고 있다.

그래서 귀 앞과 뒷목을 쓸어주면 안면부종 등 뇌를 정화하는데 대단히 좋다.

참고로 귀를 당기는 힘은 치료효과에 비례한 것은 아니다.

어떤 경우 아주 작은 힘으로 당겨주어도 피술자의 반응이 의외로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.

 

②씹기

입 운동이나 음식 씹기는 머리 외측의 측두근과 내측 익돌근이 저작작용으로
측두골, 두정골, 접형골에 영향을 준다.

뇌저의 익돌판의 견인은 뇌 압력변화를 유도하고,
접형골의 말 안장모양의 홈에 놓인 뇌하수체에도 어떤 리듬이 전달될 수 있으리라 추정한다. 

 

 

https://youtu.be/Gc1n8qIw04w

 

320x100